<p></p><br /><br />지난해 일가족이 차에 치여 아이가 숨진 횡단보도, 이곳은 스쿨존이었습니다. <br> <br>사고를 막기 위해 횡단보도 위치를 바꿨는데, 무단횡단이 더 늘고 있습니다. <br> <br>다시 간다 우현기 기자가 점검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유모차를 끄는 여성이 자녀들과 함께 신호기가 없는 횡단보도를 건넙니다. <br> <br>맞은 편 차선에서 직진하던 차량 때문에 잠시 멈춰선 가족들. <br> <br>신호가 바뀌자, 대형 화물차가 가족들을 그대로 들이받습니다. <br> <br>이 사고로 두 살 여자 아이가 숨졌고, 초등학교 교사인 30대 엄마와 두 아이가 크게 다쳤습니다. <br> <br>[피해자 동생] <br>"뼈가 보일정도로 파여버렸어요. 피부이식도 겨우겨우했는데, 스스로 거동을 할 수도 없고 화장실을 갈 수도 없는 상황이에요." <br> <br>사고 현장은 어떻게 바뀌었을까. <br> <br>과속 단속 카메라와 방지턱이 설치됐고, 교차로 한 가운데엔 정차 금지대가 생겼습니다. <br><br>"사고가 난 도로인데요. 원래 있던 횡단보도는 없어졌고, 대신 보행자 보호를 위한 울타리가 설치됐습니다." <br><br>횡단보도가 모두 없어졌기때문에 주민들은 40m를 더 걸어가 신호등이 있는 횡단보도를 이용하게 됐습니다.<br> <br>그러자, 시도때도 없이 무단 횡단이 이뤄지기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출근 시간대 차량들이 엉켜 있어 위험한데도 아랑곳하지 않습니다. <br> <br>[아파트 주민] <br>"저기 신호등이 오래 걸려요. (주민들이) 안 기다리고 무단횡단하고" <br> <br>결국 주민들은 사망사고 직후 재발 방지를 위해 없앴던 횡단보도를 다시 만들어 달라고 요구합니다. <br><br>설치 위치를 두고도 1단지와 2단지 주민대표 의견이 엇갈리고,<br> <br>[아파트 1단지 대표] <br>"하나 만든다면 좌측에 만들어야 맞습니다. 왜? 주민들이 그쪽만 이용한다 이 말씀이에요." <br> <br>출퇴근 시간 차량 정체가 없도록 신호등 없이 횡단보도만 만들어 달라고 주장합니다. <br> <br>[아파트 2단지 대표] <br>"30km (속도 제한) 있으니 (차가) 천천히 가는데 피해갈 거 아니냐라고 해서 신호등없는 횡단보도 그려달라가 저희 요구고요." <br> <br>[김태석 / 광주 북부경찰서 교통계장] <br>"신호 설치하지 않는다면 사망사고 나기 전 단계로 다시 환원하는 겁니다. 벌써 안전에서 둔감하고 편리를 주장하고 계시는 겁니다." <br> <br>일단 횡단보도는 설치하지 않기로 결론이 났지만, 광주시는 무단횡단 실태조사를 하겠다는 방침입니다. <br> <br>가해 운전기사는 재판에 넘겨졌습니다. <br><br>운전기사는 트럭의 높은 운전석에서 피해자들이 보이지 않았다고 주장했는데, 법원은 지난 18일 이례적으로 현장 검증을 실시했습니다. <br> <br>같은 높이의 트럭과 대역이 동원됐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피해 가족들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합니다. <br><br>법원의 재연 실험은 평지에서 진행이 됐는데, 실제 사고가 난 횡단보도는 고원식이라 일반 도로보다 10cm 정도 높다는 것. <br><br>그런 점을 감안하면 운전기사의 시야에 피해자가 보였을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는 겁니다.<br> <br>[피해자 동생] <br>"시연할 때는 누가 봐도 평지에서 유모차로 왔다갔다 끌고만 다니더라고요." <br><br>광주지법은 "재판이 진행중이어서 답하기 어렵다"고 해명한 가운데, 다음달 14일 검증 결과를 가지고 재판이 열릴 예정입니다. <br> <br>[피해자 엄마] <br>"제 딸이(아이 엄마가) 정확히 172cm입니다. 키 큰 사람이 어떻게 안 보일 수 있다고 하는지 이해가 안 가고. 제발 스쿨존에서 운전자분들 양쪽 살피셔서 우리 아이들 보호해주시기를" <br> <br>'다시간다' 우현기입니다. <br>whk@donga.com <br>PD : 윤순용 <br>작가 : 김예솔 <br>그래픽 : 김승훈 김태현 여현수